now17-1 님의 블로그

안녕하세요! [now-17.com]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이곳은 아동심리학과 발달심리학을 중심으로, 아이들의 정서·인지·사회성 발달에 대한 깊이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블로그입니다.

  • 2025. 5. 3.

    by. now17-1

    목차

      1. 서론: 프로기사의 사고를 배우는 시간

      바둑의 가장 큰 매력 중 하나는 '수읽기'입니다. 단순히 눈앞의 한 수를 두는 것이 아니라, 상대의 수, 자신의 반응, 그다음 변화까지 예측하는 과정이 바로 수읽기입니다. 프로기사들은 10수 이상 앞을 내다보는 깊은 사고를 통해 최고의 선택을 찾아냅니다.

      이번 수업에서는 유명 프로기사들의 명국(名局)을 따라 해보며, 그들의 수읽기와 전략적 판단을 직접 체험해봅니다.
      이를 통해 “왜 이 수를 두었을까?”, “다른 수는 왜 선택하지 않았을까?”라는 질문을 스스로 던지게 되며, 분석적 사고력과 창의적 판단력을 키울 수 있습니다.

       

       


      2. 수업 목표

      • 유명 프로기사들의 실제 대국 장면을 통해 고수의 수읽기 사고 과정과 전개 방식을 깊이 있게 체험한다.
      • 상황별 다양한 선택지 중에서 논리적이고 전략적인 다음 수를 예측하는 훈련을 진행한다.
      • 수읽기를 기반으로 복기 활동을 정리하고 발표하는 능력, 그리고 타인의 사고를 비교·분석하는 통찰력을 향상시킨다.
      • 수읽기 감상문을 통해 자신의 생각을 글로 구조화하고 설명하는 표현 능력을 기른다.
      • 단순한 외우기보다 ‘왜 이 수인가’라는 질문을 바탕으로 한 바둑적 사고훈련에 초점을 둔다.

       


      3. 전개: 프로 수읽기 분석 활동

      3-1. 명국 기보 따라 두기

      • 이창호, 신진서, 조훈현, 이세돌 등 유명 기사의 실전 대국 중 전환점이 되는 결정적 장면을 선택합니다.
      • 5~10수 단위로 상황을 나누고, 교사는 각 구간에서 프로가 어떤 의도를 갖고 수를 두었는지 설명합니다.
      • 학생들에게 특정 장면을 보여준 후 “이 장면에서 다음 수는 무엇일까요?” 질문을 던지고, 각자 예상한 수를 발표합니다.
      • 이후 실제 프로의 수를 공개하고, 그 수를 선택한 이유와 변화의 흐름을 분석합니다.
      • 학생들의 예측 수와 비교하여 사고방식을 확장하도록 유도합니다.

      지도 팁: 초등학생이나 중급자에게는 기보를 13줄이나 9줄 바둑판으로 단순화해서 설명하며, 결과보다 생각의 경로와 근거 설명에 집중시키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3-2. 수읽기 경로 시각화 활동

      • 학생들이 자신의 예상 수 이후 전개를 A안, B안, C안 등으로 구분해 종이에 화살표로 표현하거나, 도식으로 정리합니다.
      • 각 경로에서 "상대가 이렇게 두면?", "나는 어떻게 대응할까?" 등의 흐름을 구성합니다.
      • 같은 장면에 대해 친구들이 제시한 경로와 자신의 경로를 비교하며, 다양한 시각을 이해하고 발표합니다.
      경로 예시설명
      A안 실리 확보 중심의 선택, 상대가 끊기 어려운 형태로 유도
      B안 공격 우선, 상대의 약점을 직접 공략하려는 전개
      C안 연결과 안전 중심의 진형 구성, 이후 전투 대비
       

      교사 팁: 정답보다는 "그렇게 생각한 이유가 무엇인지"에 집중하며 발표를 이끌고, 모든 선택에 대해 피드백을 주는 과정에서 사고의 깊이를 넓혀주세요.

       


      3-3. 프로기사 수읽기 감상문 작성

      • 활동 후, 각자 자신이 예상한 수와 실제 수의 차이를 분석하여 감상문 형식으로 정리합니다.
      • 예시 질문:
        • “내가 예상한 수와 다른 수가 나온 이유는 무엇인가요?”
        • “프로기사는 어떤 점을 고려해서 수를 결정했을까요?”
        • “이 수에서 내가 배운 점은 무엇인가요?”
      • 자신의 사고 흐름을 돌아보고, 고수의 수에서 배운 원리를 정리하며 논리적 글쓰기 및 표현력 강화로 연결됩니다.
      • 일부 학생은 짝과 감상문을 교환해보며 의견을 나누고 피드백을 주고받는 활동도 진행할 수 있습니다.

      확장 활동: 감상문 발표 후, 전체 토론을 통해 “내가 가장 인상 깊게 본 수읽기 사례”를 공유해보세요.

       

       

      유명 프로기사의 수읽기 따라 하기


      4. 결론: 수읽기는 바둑의 심장이다

      수읽기는 단순히 머리를 많이 쓰는 활동이 아닙니다. 실전에서는 수읽기를 통해 위기에서 벗어나고, 기회를 만들며, 승기를 잡는 전략을 구사하게 됩니다.

      이번 활동을 통해 학생들은 '생각하고 두는 바둑'이 얼마나 즐겁고 깊이 있는지 체감했을 것입니다.

      앞으로 모든 바둑판 위의 착수에 앞서,
      “나는 지금 어떤 생각을 하고 있지?”
      라는 질문을 스스로에게 던지는 습관을 만들어갑시다.